HYBRID VIGOR ; HETEROSIS (2022)
International Competition | 5th Prize
Location | Gyeongsangbuk-do, South Korea
Program | Agricultural Resources Management Institute
Completion | 2022
In Collaboration with Doall Architects
사업명: 경상북도 농업자원관리원 건립 국제설계공모
주최: 경상북도
위치: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단북다인로 434-17 일원
용도: 농업자원관리원 (사무소, 관리사, 창고)
대지면적: 39,555㎡
건축면적: 8,912.17㎡
연면적: 8,900.66㎡
규모: 지상2층(관리사), 지상1층(사무동, 농기계시설, 종자생산시설)
최고높이:14m
주차: 40대
건폐율: 22.53%
용적률: 22.50%
구조: 철근콘크리트 + 철골조
협업: 건축사사무소 두올아키텍츠
Followed by the relocation of Gyeongsangbuk-do Provincial Office from Buk-gu of Daegu Metropolitan City to Gyeongbukdocheong New Town in Andong and Yecheon in February 2016, the direct institutions in Gyeongsangbuk-do and business places will be
relocated as well to promote work efficiency.
The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ource Management Institute produces and supplies high quality local seeds based on the relevant research. It consists of the main institute in Daegu, the branch institute in Uiseong, and Sericulture Insect Institute in Sangju.
The newly established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ource Management Institute will become a new government office building that is established on the expanded site of the current Uiseong branch and integrates the main and branch institutes
The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ource Management Institute produces and supplies high quality local seeds based on the relevant research. It consists of the main institute in Daegu, the branch institute in Uiseong, and Sericulture Insect Institute in Sangju.
The newly established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ource Management Institute will become a new government office building that is established on the expanded site of the current Uiseong branch and integrates the main and branch institutes
PHYSICAL MODEL | MODELED BY SS2 (SIZE: 900mm X 900 mm X 400mm)
대상 부지는 사면이 농경지에 접해있으며 만경산, 나각산, 비봉산 등의 아름다운 경관을 바라보는 열린 시계를 가지고 있고 성암리, 효제리, 연제리 등 인근 마을로부터 우수한 접근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대상지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고 대상 부지 내에서 주요 동선의 연결과 교차를 통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역사회와 공유하고 소통하고 융합하는 성격을 부여하고자 한다.
새로운 농업자원관리원은 창의적이며 효율적인 공간과 시설을 바탕으로 우량종자를 생산·공급하고 토종농산물을 발굴하며, 유전자원을 보전·육성할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게 열린 교육, 문화, 휴게공간을 제공하고 나아가 농산물 직거래장터를 통한 경제 활성화 및 커뮤니티 강화 등 지속가능한 미래형 농업자원관리원의 비전을 제안한다.
잡종강세는 농업용어로 이형접합체가 동형접합체에 비하여 우수한 생활력을 가지는 현상을 일컫는다. 농작물의 이종교배를 통해 우수한 품종을 개발하는 것처럼 본 계획안은 서로 다른 프로그램의 공간을 결합하여 새로운 공간을 구축하고 경북 농업자원관리원의 고유한 건축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화 공간으로 제안된 가변형 사이 공간은 농업자원관리원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운영 시나리오에 적합한 가변적 건축 장치로 탄력적으로 운영되며 다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Related
KNOWLEDGE CAMP TOWN 作戰都市 작전도시
새로운 농업자원관리원은 창의적이며 효율적인 공간과 시설을 바탕으로 우량종자를 생산·공급하고 토종농산물을 발굴하며, 유전자원을 보전·육성할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게 열린 교육, 문화, 휴게공간을 제공하고 나아가 농산물 직거래장터를 통한 경제 활성화 및 커뮤니티 강화 등 지속가능한 미래형 농업자원관리원의 비전을 제안한다.
잡종강세는 농업용어로 이형접합체가 동형접합체에 비하여 우수한 생활력을 가지는 현상을 일컫는다. 농작물의 이종교배를 통해 우수한 품종을 개발하는 것처럼 본 계획안은 서로 다른 프로그램의 공간을 결합하여 새로운 공간을 구축하고 경북 농업자원관리원의 고유한 건축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화 공간으로 제안된 가변형 사이 공간은 농업자원관리원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운영 시나리오에 적합한 가변적 건축 장치로 탄력적으로 운영되며 다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Related
KNOWLEDGE CAMP TOWN 作戰都市 작전도시